건강정보
성인예방접종
매해 겨울, 유행처럼 찾아오는 독감!
독감은 단체 생활을 하는 학교, 회사, 어린이집에서 빠르게 확산되곤 하는데요.
일반인에게 “독감”으로 알려진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잠깐 Q&A
Q. 독감… 감기랑 같은 거 아닌가요?
A. 사계절 내내 걸릴 수 있는 감기와 다르게 독감은 주로 겨울에서 봄까지 유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독감 ≠ 감기
-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
- 감기: 200여 가지 다양한 바이러스로 인한 호흡기 질환
독감과 감기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릴게요.
독감과 감기의 구별
독감 | 감기 | |
---|---|---|
원인 | 인플루엔자 A,B,C 바이러스 | 200여 가지 바이러스 |
시작 | 갑자기 | 서서히 |
고열 | 고열(38℃이상) | 드물다 |
콧물, 인후통 | 때때로 | 흔하다 |
두통, 피로감 | 흔하다 | 약하다 |
예방약 | 인플루엔자 백신, 항바이러스제 | 없다 |
치료약 | 타미플루, 리렌자 | 대증요법 |
다음은 제일 중요한! “예방”입니다.
최대 유행시기인 10~11월 중에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독감 백신은 발병 자체를 예방하지는 못하지만, 증상을 완화하고 입원을 및 사망의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자동차 사고 시 안전벨트 역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증상 완화
- 사망 위험률 감소
- 경과 완화
예방 접종을 했지만, 그래도 독감에 걸렸다면 치료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 항바이러스제 — 현재 가장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는 타미플루와 리렌자입니다. 두 가지 모두 증상 시작일로부터 2일 내에 투약하면 독감의 총 지속기간을 1~1.5일 단축할 수 있습니다.
- 항생제 요법 — 2차 세균폐렴과 같은 급성 세균합병증이 확인되었을 때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 대증요법 —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는 안정을 취하고 수분을 섭취합니다.
Q. 임신부의 경우, 백신접종을 해도 되나요?
A. 독감 유행 시기에 임신 혹은 임신 예정인 여성은 필히 예방 접종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임신부가 감염된 경우에는 심박수, 심박출량 및 산소 소비량 증가, 폐활량 감소, 면역기능 변화 등으로 인해 독감 중증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되기 때문입니다.
자료 출처 : 질병관리청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안내문
예방접종으로 자궁경부암을 예방하세요
사람유두종바이러스는(Human papillomavirus, HPV)
성관계가 시작된 여성 4명 중 2~3명은 평생 적어도 한 번 이상 HPV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증상 없이 자연적으로 사라지지만, 암을 일으킬 위험성이 높은 유전형(HPV 16, 18 등)에 지속적으로 감염될 경우 수년에서 수십 년 후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국가예방접종에 포함된 두 가지 백신은 백신에 포함된 유형에 의해 발생하는 70%의 자궁경부암을 효과적으로 예방합니다.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은 만 12세에 권장하며, 권장 접종간격을 유지하여 2회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으로 사용되고 있는 백신은 지금까지 전세계 65개국에서 국가예방접종으로 도입되어 약 2억 건 이상 접종되었으며, 안전성이 검증된 백신입니다.
권장 접종시기 및 대상 · 권장 접종횟수 · 접종대상 백신
- 권장 접종횟수: 6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 (1차 접종 후 6개월 간격 2차 접종)
- 접종대상 백신: 가다실, 서바릭스
예방접종 주의사항
- 예방접종 전 반드시 의사의 예진을 받도록 합니다.
- 접종부위는 청결하게 유지합니다.
- 예방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주의 깊게 관찰이 필요합니다.
이럴 땐 접종하면 안됩니다.
- 백신 성분 또는 이전 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경우
- 급성 열성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와 충분히 상담한 후 접종합니다. 그러나 감기와 같은 가벼운 질환은 접종을 연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후 발생 가능한 이상반응
- 국소 반응: 접종부위 통증, 부어오름, 발적, 두드러기 등
- 전신 반응: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등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이 발생하면 신고해 주세요.
예방접종 후 생기는 대부분의 이상반응은 가볍고 수일 내에 회복됩니다. 다만 증상이 심하거나 전신적 반응이 지속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보건소, 예방접종도우미사이트, 보건복지콜센터 129로 신고해 주세요.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본부 · 129
출처 : 질병관리청